ReMix(리믹스)

3. Channel Planning

5min



Channel Planning이란?

미디어믹스의 타겟 도달 효과를 예측사후 분석하는 솔루션 (TV, IPTV, Online 통합)





Info



구분

내용

Needs

  1. 집행 전 미디어믹스의 타겟 도달 효과를 예측하고 싶을 때
  2. 집행 후 미디어믹스의 타겟 도달 효과를 사후 분석하고 싶을 때

Media

  • TV : 지상파, 종편, 유료방송
  • IPTV : Genie TV, BTV, UTV
  • Online
    • 영상/포털 : YouTube, Netflix, 티빙, 아프리카TV, 네이버TV, 네이버 스포츠, 카카오모먼트
    • SNS :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틱톡, 트위터
    • 네트워크 : SMR, 애드패커, 시그널플레이, 다윈, 코비

Input

  1. 매체별 예산 및 단가 정보
  2. 타겟 성연령 범위

Result

세부 매체별 타겟 도달 효과와 스크린 통합 기준의 타겟 도달 효과 수치







Manual



1

1st Step : Budget Allocation

집행 예정이거나 집행한 미디어믹스의 세부 매체 정보를 입력합니다.

집행하지 않은 스크린인 경우 스크린명 옆의 ON을 클릭해 OFF로 변경합니다.

각 스크린별 가격 정보 입력시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입력해야 올바른 분석이 가능합니다.



  • 스크린별 가격 정보 기준

Screen

가격 정보

TV

타겟 기준 CPP

Online

전체 타겟 기준 CPM

IPTV

가구 기준 CPM





2

1) Online

집행할 온라인 영상 매체를 선택하고 각 매체별 예산, 가격 정보를 입력합니다. 왼쪽 상단의 +버튼을 클릭해 매체를 추가할 수 있으며 휴지통 버튼을 클릭하면 추가한 매체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만일 타겟팅 상품을 집행하는 일부 매체의 경우 Targeting Check(타겟팅 가중치)를 적용합니다.

Document image


Channel Planning에서 지원하는 온라인 매체는 모두 영상 매체이며 DA 매체 집행이 필요한 경우 DA 통합 예측 (Nsmart plan) 선택을 체크합니다.

DA 매체 효과 예측이 가능한 Nsmart TA 솔루션을 이용하여 DA 매체를 포함 분석하는 기능입니다. Nsmart TA 솔루션은 나스미디어 내부 솔루션으로 외부 이용자는 접근이 불가능합니다.

다만 DA 매체의 Target Imps, Target Unique User 의 값을 알고 있다면 해당 수치를 입력하여 통합 분석이 가능합니다. 만일 Nsmart TA 솔루션 접근이 불가하거나 활용 가능한 수치가 없는 경우, 영상 매체 기준으로 활용하시길 권장드립니다.





3

2) IPTV

집행할 IPTV 세부 채널을 선택하고 각 매체별 예산, 가격 정보를 입력합니다. 그리고 IPTV 동반시청자수 정의를 체크하여 분석합니다.

Document image






4

3) TV

집행할 TV 세부 채널을 선택하고 각 매체별 예산, 가격 정보를 입력합니다. 서버에 자동 입력되는 TV의 CPP 정보는 예시로 입력된 값이며 타겟 CPP 계산이 필요한 경우 왼쪽 하단의 TV CPP Simulate 기능을 이용해보세요.

Document image






5

2nd Step : Target

캠페인 집행할 타겟 범위와 분석 데이터 연도를 입력합니다.

Document image




6

3rd Step : Simulate

조건을 모두 입력 후 Simulate를 클릭해 분석 결과를 확인합니다.











Analysis Result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확인 가능합니다. 입력한 매체 및 매체 정보에 따라 세부 매체별 효과 수치 및 스크린별, 스크린 통합 효과 수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른쪽 상단의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여 분석 결과를 엑셀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Document image


남녀 20~45세에게 위 미디어 믹스를 집행한 경우 Online 채널로 20.59%, IPTV 채널로 2.16%, TV로 19.64%에게 도달할 수 있다고 추정됩니다. 각 스크린별 중복 도달을 감안했을 때 통합 Reach는 37.38%로 추정됩니다.

또한 입력한 예산 금액에 따라 비용 효율 지표인 CPP, CPR 지표도 확인 가능합니다. 위 결과에서 가장 저렴한 CPP는 페이스북(156만원)이며 CPR은 유튜브(290만원)가 가장 저렴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