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Per(바이퍼)
...
2. 결과 리포트 이해하기
A. 캠페인 기본 분석
7 min
캠페인의 전체적인 성과를 요약하고 kpi와 마케팅 전략 사이의 관계성을 분석합니다 상단의 kpi 필터를 바꾸면 각 kpi 별의 결과 요약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캠페인 기본 정보 캠페인 집행 기간과 총 광고비, 총 달성한 kpi 수치를 요약합니다 캠페인 기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집행 기간, 총 광고비, 총 kpi 규모를 확인합니다 캠페인에 집행한 매체 예산 비중을 확인합니다 차트 위에 마우스를 오버하면 해당 매체의 예산 금액, 비중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자별 캠페인 광고 집행 현황과 kpi 추이를 확인합니다 오른쪽 상단의 '분석 기간 선택' 기능을 활용하면 '매체별 예산 집행 비중' 차트와 함께 해당 기간의 정보만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캠페인 총 성과 분석 캠페인 비집행기간과 집행기간의 kpi 수치, 일자별 kpi 추이를 비교할 수 있습니다 해당 분석 결과는 아래 조건에만 분석이 가능합니다 데이터에 캠페인 비집행 기간 캠페인 비집행 기간 이 포함된 경우 캠페인 비집행 기간 비집행 기간 이 분석 기간 단위 4단위 이상 4단위 이상 인 경우 (ex 분석 기간 단위가 '주' 단위일 때 최소 4주 비집행데이터 필요) 캠페인 집행 기간 집행 기간 이 분석 기간 단위 2단위 이상 2단위 이상 인 경우 (ex 분석 기간 단위가 '주' 단위일 때 최소 2주의 집행 데이터 필요) 캠페인 비집행기의 kpi와 캠페인 집행기의 kpi 수치를 비교합니다 캠페인 비집행기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캠페인을 미집행했을 시의 kpi를 추정하여 해당 기간에 얼만큼의 추가 kpi를 얻었는지 캠페인을 미집행했을 시의 kpi를 추정하여 해당 기간에 얼만큼의 추가 kpi를 얻었는지 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 사례의 경우 캠페인 집행시 미집행시보다 kpi 88%를 추가 확보했음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해당 분석은 실제 캠페인 집행 기간 동안 '캠페인 미집행'을 가정하여 가상의 캠페인 미집행시의 kpi를 추정해야 합니다 현재 사이트 상에서는 미집행 기간의 평균치로 가상의 미집행 기간 kpi를 예상하지만, 커스텀 viper 를 통해서는 시계열적 요소인 '트렌드', '계절성'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비집행기에도 패턴적으로 상승하는 kpi 성과 수치를 배제하고 순수한 kpi 상승률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커스텀 viper를 요청하고 싶으시다면 viper 컨설팅 에 문의해보세요! 3\ 모델 학습 결과 학습한 모델이 얼마나 실제 kpi를 잘 예측하는지 확인합니다 모형 설명력이 높고, mape 수치가 낮을수록 좋은 모델입니다 오른쪽 'kpi 실제 및 예측 값 추이' 차트를 통해 특정 기간에 얼마나 정확하게 추정하는지 확인해 보세요 실제 kpi 값과 모델이 예측한 kpi 값이 얼마나 일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가 대각선에 가까울수록 실제 값과 예측 값이 일치함을 의미합니다 모델이 예측한 kpi 값이 실제 kpi 값과 기간별로도 얼마나 일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어떤 기간에 잘 예측했는지 살펴보고 예측하지 못한 기간에는 어떤 기타 변수를 넣어야 잘 예측할 수 있을지 생각해 보세요 아래 차트에서는 23년 1월 11일에 급증한 kpi를 잘 예측하고 있습니다 반면 23년 2월 12일에는 kpi가 감소했음에도 모델은 제대로 예측하지 못했네요 더 나은 모델을 만들기 위해서 kpi를 잘 예측하지 못한 기간을 설명할 수 있는 기타 변수를 찾아서 학습시켜보세요 4\ 분석기준별 성과 분석 광고비와 kpi 간의 상관성을 분석합니다 상관성은 1 에서 1 사이의 값으로 나타나며 1에 가까운 숫자일 수록 양의 관계가 강한 것 1에 가까운 숫자일 수록 양의 관계가 강한 것 으로 해석합니다 예를 들어 kpi가 '사이트 유입'인 경우 온라인 동영상, da 광고에 노출되었을 때 광고를 통한 사이트 유입이 자유로워 상관성이 더 높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처럼 특정 kpi별로 관계성이 높은 매체가 무엇인지 탐색해보세요 광고비와 kpi 간의 반응함수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기울기가 높을수록 적은 광고비로 높은 kpi를 달성할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추정 범위는 일자별 예산 중 최대 금액의 1 2배까지 가능합니다 위 사례는 tvc, da는 예산 대비 완만한 곡선으로, 동영상은 상대적으로 가파르게 kpi가 상승하고 있습니다 적은 예산 차이로도 동영상이 타 매체 대비 높은 kpi를 달성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특정 매체의 함수를 더 자세히 보고 싶다면 보고 싶은 범위 영역을 드래그하여 확대할 수 있습니다 원래 화면으로 돌아가고 싶다면 상단의 '초기화' 버튼을 누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