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Per(바이퍼)
...
2. 모델 학습 결과 이해하기
2. 결과 리포트 이해하기

B. 기여도 분석

6min

KPI에 광고 매체가 기여한 수준을 확인합니다. 어떤 매체가 해당 KPI에 더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분석 기준 별 기여도 차트

캠페인 총 기간의 분석 기준별 KPI 기여도와 효율 지표(CPA, ROAS)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Document image


1. 기여도 : '광고 전략이 KPI 성과에 얼만큼 기여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

예를 들어 DA 기여도가 0.04, IPTV 기여도가 0.07인 경우 어떻게 해석하면 될까요?

KPI를 얻을 때 DA 광고가 4%만큼, IPTV가 7%만큼 평균적으로 기여했다고 해석합니다. 또한 IPTV 광고가 DA 광고보다 KPI에 평균적으로 더 많이 기여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왼쪽 상단의 'Error bars'를 체크하면 추정된 기여도 비중의 오차 범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검은색 선 범위까지 기여도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니 해석에 참고해주세요.

2. 효율 지표 선택

  • CPA (Cost Per Action) : 분석 기준별 예산 / 추정한 분석 기준별 KPI 기여도 (원)
  • ROAS (Return On Ad Spend) : 추정한 분석 기준별 KPI 기여도 /분석 기준별 예산 (원)

오른쪽 상단의 '효율 지표 선택' 필터를 통해 CPA, ROAS 수치를 확인합니다. CPA가 낮을수록 ROAS가 높을수록 KPI 기여 효율이 좋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집행된 예산 대비 KPI 달성이 얼만큼인지 효율을 직관적으로 확인해보세요.









2. 일자별 기여도 추이

일자별로 광고 전략별 KPI 기여도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전략 실행 시기가 상이한 경우 일자별 기여도 추이를 참고하시면 한 눈에 전략별 기여도 흐름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Document image


앞서 살펴본 기여도에는 Baseline 값이 포함되지 않았으나 일자별 기여도 추이에서는 Baseline 값이 포함됩니다.

Baseline : 광고 전략 기여도를 제외한 패턴적으로 생길 수 있는 KPI 수치

Baseline은 어떤 마케팅 상황에 필요한걸까요?

예를 들어 화장품 중에 겨울철 구매가 늘어나는 보습 브랜드의 마케터라고 가정해봅시다. KPI가 제품 구매였다면 겨울철 증가한 KPI 수치에는 오로지 광고 전략 집행만이 기여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이처럼 데이터 안에서 패턴적으로 증가하는 KPI 흐름을 살펴 트렌드와 계절성 특성을 반영하여 볼 수 있습니다.





3. 분석 기준별 기여도 리스트

일자별 기여도 추이는 엑셀 데이터로도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특정 집행 기간의 기여도 비중을 더 자세히 보고 싶은 경우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해보세요.

Document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