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Mix 사전 지식
해당 페이지는 ReMix에 활용되는 용어 및 분석 옵션을 정리한 페이지입니다.
솔루션별로 반복 활용되는 내용이 있으니 확인 후 ReMix를 활용하시길 추천드립니다.
- 노출 효과 지표
용어 | 정의 | 계산 |
---|---|---|
Target Imps | 타겟에게 노출될 광고량에 대한 추정치 | ReMix 분석 로직으로 비공개 |
Target Unique User | 타겟 인구 중 광고에 1회 이상 노출된 사람 수 | ReMix 분석 로직으로 비공개 |
Reach (Reach 1+) | 타겟 인구 중 광고에 1회 이상 노출된 사람의 비중 (%) | =Unique User / 타겟 인구 수 |
GRPs (Gross Rating Points) | 타겟 광고시청률의 총합 | = (Target Imps / 타겟 인구 수 ) x 100 |
Freq. (Frequency) | 타겟 1인당 평균 광고 노출 횟수 | = GRPs / (Reach x 100) |
- 비용 효율 지표
용어 | 정의 | 계산 |
---|---|---|
CPM (Cost Per Mille) | 광고 1,000회 노출 당 비용 | = (예산 / Imps) x 1,000 |
CPP / CPRP (Cost Per Rating Points) | 1 GRPs 당 비용 | = 예산 / GRPs |
CPR (Cost Per Reach) | 1% Reach 당 비용 | = 예산 / (Reach x 100) |

구분 | 내용 |
---|---|
정의 | 광고 매체의 인구 통계 타겟팅 정확도 |
기능 | 광고가 캠페인 타겟에게 실제로 노출된 정확도를 반영함 |
세부 내용 |
|
미적용시 매체별 타겟 이용량에 따라 Target Imps이 자동 계산됩니다.

구분 | 내용 |
---|---|
정의 | IPTV 시청 가구 당 평균적인 개인 시청자수 |
기능 | 가구(셋톱) 기준의 광고 노출수를 개인 인구 기준으로 변환함 |
세부 내용 |
|

구분 | 내용 |
---|---|
정의 | Optimal Budgeting에서 특정 매체의 예산 배분을 일정 범위 내로 고정시키는 옵션 기능 |
세부 내용 |
|
예시 |
|
ReMix는 매년 분석에 활용되는 데이터를 신규 업데이트하고 있습니다.
분석할 캠페인의 집행 시기에 따라 Base Data 연도 기준을 선택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연도 | 내용 |
---|---|
2022년 | 2022년 광고 집행 데이터 및 매체 이용 트래픽, 2022년 통계청 추계인구 |
2023-2024년 | 2023년 광고 집행 데이터 및 매체 이용 트래픽, 2024년 통계청 추계인구 |
TV는 타겟 기준 CPP를 입력해야 합니다. 만일 타겟 CPP 정보를 알지 못한다면 해당 기능으로 채널별 타겟 CPP를 추정해볼 수 있습니다.
Channel Planning의 TV 스크린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Channel Planning 외에도 TV 타겟 CPP가 필요한 경우 해당 기능을 활용해보세요.
(*닐슨 Arianna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며, 닐슨 추정 보너스율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 타겟 범위 및 데이터 연도 선택

2. 고려하고 있는 TV 세부 채널 예산 비중 입력
(이 때 세부 채널 예산 비중을 합쳤을 때 전체 합계는 100%가 되어야 합니다)
- TV 채널별 세부 채널 목록
그룹 | 세부 채널 |
---|---|
지상파 | KBS, MBC, SBS |
종합편성 | JTBC, 채널A, MBN, TV CHOSUN |
케이블 | tvN, MBC every1, SBS Plus, ENA, KBS JOY |
3. Simulate 클릭
4. TVC 집행 상황에 따른 목표 설정 후 타겟 CPP 조회

지상파, 종합편성, 케이블 채널의 타겟 평균 CPP를 다음 목표에 따라 활용할 수 있습니다.
- TVC 집행 목표 구분
목표 | 설명 |
---|---|
효율 지향 목표 | 비용 효율적인 프로그램과 위치에 집중하여 집행 |
절충형 목표 | 효율 지향 목표와 효과 지향 목표를 절충하여 집행 |
효과 지향 목표 | 비용 효율보다는 시청자가 집중되는 주요 프로그램과 위치에 집행 |
만일 효율 지향 목표로 TVC를 집행한 경우 남녀 20~45세의 전체 채널 CPP는 708만원입니다.
전체 채널 CPP와 함께 지상파, 종합편성, 케이블 각각의 평균 CPP도 함께 확인 가능합니다.
ReMix 분석은 매체 기준으로만 분석이 가능합니다. 분석 가능한 매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채널 : 지상파, 종합편성, 케이블
- 세부 채널 예측은 어려우며 위 채널 그룹 기준으로만 분석 가능
- 채널 정보
유형 | 채널 |
---|---|
영상/포털 | YouTube, Netflix, 티빙, 아프리카TV, 네이버TV, 네이버스포츠, 카카오모먼트 |
SNS |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틱톡, 트위터 |
네트워크 | SMR, 애드패커, 시그널플레이, 다윈, 코비 |
3Screen | 3Screen_Youtube, 3Screen_SMR |
"3Screen_매체명" 유형은 닐슨 3Screen 패널 조사 기준의 매체 도달률 측정 데이터를 활용하여 모델링 되었습니다.
- 채널 : Genie TV, BTV, UTV
IPTV 채널 분석은 VOD 상품 기준입니다. 만일 큐톤 상품 및 어드레서블 TV 상품 분석이 필요한 경우 담당팀 내부에서 커스텀 추정이 가능하니 필요시 [email protected]로 문의 부탁드립니다. (단, 해당 자료는 나스미디어 고객사에게만 제공됩니다.)